카테고리 없음

학원 최종 프로젝트 시작과 목표

letsgojieun 2021. 8. 21. 01:52

 

이미지 출처 : unsplash Markus Winkler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학원 최종 프로젝트 준비에 돌입할 예정이다

우리 조는 매장의 자리 예약 웹페이지라는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기로 했다

저번 세미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을 더 신경 써서 보완해야 할까 생각해봤다

 

1. 반응형 웹페이지 구현

 

저번 프로젝트는 반응형이 아니라 페이지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면 모양이 엉망이 되는..

대참사가 존재했다

반응형 웹페이지를 어떻게 구현해야 할까 고민하다 다들 css의 미디어 쿼리를 이용해서

반응형 웹을 구현하는 걸 알게 되었다. 거의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에서 미디어 쿼리를 적용시켜봐야겠다

 

2. 시맨틱 마크업

 

급한 마음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느라 미숙한 점이 많았는데,

최대한 시맨틱 한 태그를 사용하고 각 페이지마다 클래스 명의 통일성과

css root 요소를 적용시켜 볼 예정이다

 

3. 맞닥뜨린 에러 관련은 내용 및 해결방법을 정리하자

 

저번 세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여러 에러들을 만났는데 급한 마음에 해결이 되면

바로 넘어가서 다른 걸 작업하느라 어떤 에러였는지, 어떻게 해결했는지가 제대로 떠오르지 않는다..

이 부분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었다

이번 최종 프로젝트 과정에선 꼭 내가 마주친 에러 관련 내용을 정리해야겠다

 

4.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의 사용

 

요즘 학원에서 Vue.js에 대해 배우고 있는데, 배우고 나서 제대로 사용을 안 해보니

앞에서 들었던 내용들이 기억이 잘 안 난다

그래서 조원들과 함께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먼저 코드를 작성 후,

모든 과정이 다 끝나면 Vue.js 프레임워크로 바꿔서 적용시켜 보기로 했다

Vue 또는 React 프레임워크를 직접 사용해보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5. ajax axios fetch 이해

 

나는 서버단에서 약한 편인데, 비동기 처리에선 위의 세 가지 방법이 매우 매우 중요하다

프로젝트에서 ajax를 기본으로 사용하되, ajax를 사용할 수 있는 코드의 틀을 강사님께서

만들어주신 거라.. 이걸 나중에 회사에서 사용하기엔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직접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겠다. 일단 ajax로 사용하고 그 뒤에 axios로 바꿔볼 수 있다면 바꿔보자

다른 블로그 글을 참고해보니 axios가 뷰, 리액트 같은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기에 더 좋다는 얘기가 있던데

직접 사용해봐야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6. UI UX 고려 및 통일하기

 

개인적으로 웹 앱의 디자인적인 요소를 구경하는 걸 좋아하는 편이다

저번 세미프로 젝트에선 따로 웹페이지의 디자인 시안이랄 것도 없이

각자가 담당 페이지의 프런트와 백을 구현했다.

따로 공통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존재하지 않다 보니 각 페이지를 클릭할 때마다

이게 과연 같은 웹페이지가 맞나..?라는 의문이 들 정도였다

최근에 조금 연습해봤던 피그마를 이용해서 UI를 생각해봐야겠다

UX에 대한 부분은 배워본 적은 없지만 최대한 구글링을 이용해서 조금씩이라도 참고해서

적용해볼 것이다.

 

7. 애정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지난번 세미프로 젝트의 과정을 돌이켜보면 난 정말 누구보다 열심히 했을까?라는 질문에

정말 그렇다!라고 대답을 할 수 없다

만약 정말 애정을 가졌다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프로젝트가 끝난 뒤에도

프로젝트의 보완점을 채워가려고 노력이라도 했을 텐데 프로젝트가 끝남과 동시에 아예 쳐다도 안 봤다 (..) 흑

훨씬 더 적극적으로 애정을 담아서 참여하고, 프로젝트가 끝난 이후에도 내 스스로가 보완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고 느낀다면 무조건 실행하자

 

 

반응형